Get it beauty/독서

19세기 프랑스 문학

Getitbeauty 2017. 11. 9. 12:14

19세기의 시대적 배경


1. 낭만주의


1800년 대 전반의 전기 낭만주의 대표 작가로는 샤토브리앙, 마담 스타엘 등이 있다.

본격적인 낭만주의는 1830년대 7월 혁명으로 louis-philippe이 왕으로 등극하고 입헌군주국이 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의 모든 감정인 희,노,애,락을 모두 다루고, 현실 세계에서는 보기 어려울 지라도 인간의 자유, 감성, 상상력을 자극하는 이야기들로 구성됨,


[대표작가 1] 빅토르 위고 <Les misérable (레 미제라블)> <Notre dame de Paris (노트르담 드 파리)>

  - 크롬웰 서문을 통해 낭만주의의 승리를 선언하였고, 후대는 프랑스 낭만주의는 빅토리 위고로 부터 시작되었다고 말한다.


  - hernani라는 작품을 낭만주의 형식의 5막 운문극으로 만들어 고전주의와 맞선 hernani 사건

    대표적으로 아름다움 만을 다루던 고전주의의 파격으로 규정 이외의 것을 다루는 '그로테스크'를 보여줌


  - 낭만주의 소설, 희극 작가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사실 시인에 더 가까움 : <정관시집>

     또한 1950년대 자연주의 도래 후 끝날 수도 있었던 낭만주의를 20년 더 연장시킨 장본인인기도 함.


[대표작가 2] 스탕달 <La rouge et le noir (적과 흑)>

  - 낭만주의, 사실주의, 상징주의의 특징을 골고루 갖추고 있어 특정 문예사조 하나로 지칭할 수 없는 작가


  - 적과흑의 줄거리 : 줄리앙 소렐이 자신의 야심을 이루기 위한 일대기

     madame rênal와 mathilde 사이의 연애심리를 묘사

     벨리즘 : 자신이 원하는 목표 혹은 욕망을 이루기 위해 모든 것을 던져 쟁취하는 인물상(낭만주의적 특성)


     스탕달 신드롬 : 예술적 감동에 취해 어지러움을 느끼거나 실신하는 등 갈구하던 예술작품을 대면 했을 때 흥분과 도취감이 육체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거울론 : 작가의 역할을 비 온 뒤 진창이 된 길을 거울을 들고 걷는 것 처럼, 사회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보여줌으로써 어두운 면을 드러내 사람들과 공유하는 것이다.




2. 사실주의

  퇴폐적이고, 회의적 성격이 짙어진 낭만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생겨난 사조. 

  대상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여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묘사하고자 함.


  개인의 삶을 개인과 개인, 개인과 사회의 관계 속에서 전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함.

  문학은 현실 참여론적 성향을 띄고 사회 문제를 다룸으로써 독자들의 공감을 얻어야 함 -> 사실의 객관적 묘사이긴 하지만, 문제 해결을 위한 작가의 의도가 작품에 투영되어 있음

 (스탕달을 낭만주의 작가로만 분류할 수 없는 이유 - 거울론)


[대표작가 1] Honoré de Balzac 오노레 드 발자크 <인간희곡>

  - 뷔퐁의 박물학에 영향을 받아 인간 사회에도 각자가 속한 활동 영역에 따라 여러가지 전형적인 인간이 존재함을 보여주고자 함

  - 발자크의 대표작인 인간희곡은 '고리오 영감', '골짜기의 백합' 등을 포함한 약 90여편의 장편 소설 모음집이며, 등장인물만 2000명에 달한다.


  - 고리오 영감의 간략 줄거리 : 두 딸에게 모든 것을 희생한 고리오 영감의 쓸쓸한 말년을 통해 가난한 청년 라스치냐크가 사회의 실상에 눈을 뜨게 되는 이야기



[대표작가 2] Gustave Flaubert 귀스타브 플로베르 <Madame Bovary (보바리 부인)>

 - 일물일어설 : 사물의 이름에는 오직 하나의 명사, 움직임에는 하나의 동사, 그것을 형용하는데에는 오직 하나의 형용사가 있으므로  작가는 그 하나의 표현을 찾아야 함.

     -> 일례로 플로베르는 출판 후에도 자신의 작품을 계속 수정하였음.

 - 작품을 쓰기 전 치밀하게 현상을 관찰 : 델피느 자살사건을 5년간 취재한 후 보바리 부인이 탄생


 - 보바리 부인 간략 줄거리 : 시골의사 샤를르의 부인이었던 엠마가 만족스럽지 못한 결혼생활에 실망한 뒤 두 차례의 금지된 사랑에 빠져 타락하는 이야기

 - 보바리즘 : 쥘 드 고티에가 "스스로를 있는 그대로의 자신과 다르게 상상하고 꿈꾸는 현실 부적응"을 보바리즘으로 명명함.


[대표작가 3] Guy de Maupassant 기드 모파상 <비곗덩어리>

사실주의와 자연주의에 모두 속하는 작가;;


3. 자연주의

사실주의와 일맥상통하지만, 과학적 방법(관찰과 실험)을 강조한 사조.

오귀스트 콩트의 실증주의를 문학에 도입한 테느의 과학적 이론과 베르나르의 실험과학이론 등이 영향을 미침

자연주의 문학의 창시자는 에밀졸라이고, 때문에 자연주의 사조를 졸라이즘이라고도 부른다.


이성보다는 본능을, 정신적 판단보다는 동물적 충동을 소재로 다루고 있음.

짧은 시간에 발전했으며, 유전학 등의 영향을 받아 답이 정해진 듯 사회적 프레임을 벗어날 수 없는 인물들이 한계


[대표작가 1] 에밀졸라 <루공 마카르 총서>

  - 목로주점 : 제르베즈라는 여인이 사랑한 두 남자(랑티에와 쿠포)로 인해 알콜중독자로 전락하여 비참하게 죽는 이야기



4. 상징주의

- 고답파, 사실주의, 자연주의의 외면적, 객관적 경향에 대한 반동으로 상징적 방법에 의하여 형이상학적 또는 신비적 내용을 암시적으로 표현하려는 문예사조

- 기호가 하나의 의미를 가지는 1:1 대응이라면, 상징은 그 의미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여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는 1:n 대응관계이다.

   따라서 독자의 해석에 따라 천차만별의 뜻을 가질 수 있는 것이 상징주의 사조의 특징


[대표작가 1] Charles Baudelaire 보들레르 <악의 꽃> L'albatros

- 상징 주의의 대가로 이후 베를렌, 말라르메, 랭보 등의 다른 상징주의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침

- 천상과 지상의 개념 : 시인은 천상에서 지상으로 쫓겨난 인물로서 지상의 언어로 천상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상징이며, 시인만이 그러한 일을 할 수 있다고 말함


[대표작가 2]  Paul Verlaine 베를렌 Il pleut doucement sur la ville

   "모든 시는 음악이며, 가벼워야 한다"

  - 음악성이 두드러져서 다른 상징주의 시인들 보다 대중성 있는 시 -> 20세기 이후 프랑스 샹송에 큰 영향을 줌

  - 짧지만 강한 임팩트를 주는 시


[대표작가 3] Stéphane Mallarmé 말라르메  L'azur

  - 관념시(정신적인 고통, 고행을 통해서라도 이러한 현상을 나타낼 만한 단어를 떠올려야 한다. 플로베르와 유사한 것 같군)


[대표작가 4] Arthur Rimbaud 랭보  Voyelles

  - 초월세계